예상 집값 2∼3억원대로 현실과 '괴리'… "청년세대 주택정책 유연해야"

▲ 20∼30대 85%가 "집 사고 싶다"고 했으나 현실과 괴리되고 있다.
▲ 20∼30대 85%가 "집 사고 싶다"고 했으나 현실과 괴리되고 있다.

청년 10명 중 8∼9명은 자기 집을 마련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90%가 집값을 충당하기 위해 대출을 받거나 부모님에게 손을 벌려야 한다고 답했고, 예상 주택가격도 2∼3억원 수준으로 실제 집값과 큰 차이를 보였다.

22일 대한부동산학회에 따르면 김선주 경기대 융합교양학부 초빙교수는 최근 내놓은 '청년세대의 주택자산형성에 관한 연구'에서 만19∼39세 청년 296명(유효답변 28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설문에서 응답자의 85%는 '주택 구입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주택 구입 예상 시기는 '일부 자금이 형성된 때'가 46%로 가장 많았고, '결혼'과 '취업'이 각 27%를 차지했다.

주택을 사려는 예상 연령대는 '30대 후반' 44%, '30대 초반' 41% 등 30대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다수의 청년이 30대에는 어느 정도 돈을 모아 집을 사고 싶다고 생각한 셈이다.

하지만 전체 집값의 61% 이상을 자신의 돈으로 마련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23%에 그쳤다. '61∼80%'가 17%, '81∼100%'가 6%였다.

절반에 가까운 44%는 집값에서 자기자본 비중이 '41∼60%'일 것이라고 예상했고, 25%는 '21∼40%'라고 답했다. '20% 이하'라는 답변도 8%가 있었다.

타인자본 마련 방법으로는 77%가 '대출', 13%가 '부모님'을 꼽았다.

타인자본 상환 계획은 '원리금 상환' 67%, '투자 수익' 14%, '정부보조금' 12% 순이었다.

주택의 예상 매입가격은 '2억원'(34%)과 '3억원'(32%)이 과반이었다. '1억원'과 '4억원'은 각각 13%와 9%, '5억 이상'은 12%였다.

구입하려는 주택의 지역은 '서울 근교 경기도'와 '서울'이 각각 64%와 30%를 차지했다.

원하는 주택 유형은 '아파트'가 73%로 가장 많았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지난 3월 7억원을 돌파한 점을 고려하면 생각과 현실에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같은 달 전국 주택 평균가격 역시 3억3천81만원으로 다수 응답자가 예상한 집값을 웃돌았다.

김 초빙교수는 "경기상황이 나빠지거나 대출금리가 인상되면 자기자본의 축적이 미약한 청년세대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정부는 청년세대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상환방식을 유연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