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실장 軍출신+국정원장 '민간인' 배합형 가능성

박근혜 대통령이 금명간 공석인 국가정보원장과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지명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들의 인선 향방에 관심이 모아진다.

가장 큰 관심은 과연 '제복조'의 퇴조냐 연장이냐다. 현 정부 출범 이후 외교안보라인에서는 군 출신이 유독 강세를 보이며 요직에 포진했다.

지난 주 전격 '경질'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과 남재준 국정원장이 대표적이다. 김관진 국방장관 역시 같은 경우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 남재준-김장수-김관진 '3인방'이 포진하면서 위원 7명 가운에 절반 가까이가 군 출신 인사였다.

외교안보라인을 군 출신이 사실상 장악하면서 대북정책 등에서 강경색채가 짙었던게 아니었느냐는 지적도 제기되온 터였다.

경실련 통일협회가 2010년 이명박 정부가 천안함 사태 이후 취한 5·24조치 4주년을 맞이해 북한 및 통일 분야 전문가 113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지난 22일 발표한 결과, 전문가 10명 중 9명이 '5·24 조치'가 완화되거나 해제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된 것도 이를 방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안보실장의 경우, 박 대통령의 선택은 이번에도 군 출신일 거라는 전망이 우세한 편이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중요하지만 북한의 4차 핵실험 위협에다 세월호 참사 와중에 북한이 지난 22일 초계 임무를 수행 중이던 우리 해군 고속함 인근에 2발의 포격을 가하는 등 도발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점에서 안보 컨트롤타워는 군 출신이 맡아야 한다는 논리가 작동할 거라는 얘기다.

청와대 한 핵심관계자가 25일 연합뉴스에 "북한 도발과 같은 비상상황에 대한 대처를 군인이 아니면 누가 할 수 있겠는가. 학자나 이론만 아는 분들이 할 수 있겠는가"라고 언급한 것은 이런 맥락으로 보인다.

전임 정부에 이어 '롱런'하고 있는 김 국방장관과 현 정부 들어 국가안보자문단에 위촉된 김재창 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이 안보실장 후임에 무게감 있게 거론되는 이유다.

다만 이렇게 되면 국정원장은 군 출신이 아닌 이른바 '양복조'에서 기용될 가능성이커보인다.

즉 '민간인' 출신이면서도 대공수사와 대테러, 방첩 등 국정원 고유의 업무를 잘 아는 인사를 선호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국정원 전신인 안기부 2차장을 역임한 이병기 주일 대사나 검사 시절 안기부에 파견돼 근무한 적이 있는 권영세 주중 대사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이 대사와 권 대사 모두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과 지난 2012년 대선에서 박 대통령을 지근 거리에서 도운 핵심 측근 인사다.

황 장관은 검찰 공안 분야에서 잔뼈가 굵었고 국가보안법 해설서를 펴낼 정도로 공안 업무에 정통해 박 대통령이 선호하는 인사로 평가된다.

이런 가운데 국가안보실장과 국정원장 인선에서 지역 배려가 있을지 주목된다.

경남 창원 출신인 새누리당 정의화 의원이 19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직을 사실상 '예약'하면서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안대희 전 대법관(경남 함안)과 양승태 대법원장(부산)까지 입법·사법·행정부의 수뇌부가 모두 PK(부산·경남) 출신으로 채워지게 되면서 지역편중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통합 측면에서 호남이나 충청권 등 영남권 외 인사의 청와대 및 내각 중용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엄존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역적 배려 등도 고려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며 "언론에서 지적하는 여러 문제에 대해 청와대도 귀를 열고 듣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