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악취실태조사 결과 설명회
시, 주민설명회 통해 결과 주민들과 공유

[일간경기=김희열 기자] 수년간 원인을 알 수 없는 악취로 주민들이 불편을 겪어온 수원 망포동 일원의 악취가 하수관거와 공공하수·슬러지 처리시설, 망포동 인근 소규모공장·비닐하우스·농경지(화성시 소재) 등에서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수원 망포동 일원의 악취가 하수관거와 공공하수·슬러지 처리시설, 망포동 인근 소규모공장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망포2동행정복지센터 옥상에 설치한 무인악취포집장치. (사진=수원시)
수원 망포동 일원의 악취가 하수관거와 공공하수·슬러지 처리시설, 망포동 인근 소규모공장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망포2동행정복지센터 옥상에 설치한 무인악취포집장치. (사진=수원시)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망포동 일원, 화성시 화산·진안·병점동 일원 등 악취 관련 민원이 발생한 지역과 수원시공공하수·슬러지처리 시설, 인근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악취실태조사를 했다.

한국환경공단은 1월19일 영통구청 대회의실에서 악취실태조사 결과보고회를 열고, “악취 발생 원인은 하수관거 정비의 문제일 가능성이 있다”며 “악취배출원은 수원시 공공하수·슬러지 처리시설(화성시 송산동)과 인근 소규모공장·비닐하우스·농경지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하수관거’는 여러 하수구에서 하수를 모아 하수 처리장으로 내려보내는 큰 하수도관을 말한다.

한국환경공단은 수원시 공공하수처리시설을 포함해 화성시 소재 7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악취 영향도 조사를 했다.

대기질 조사 결과, ‘복합 악취’는 3~4배수(악취를 감지하고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복합 악취는 10배수)로 나타났다. 현장 후각 측정에서는 하수구 냄새가 가장 많이 났고, 다른 냄새(매연 냄새>음식물 냄새>하수처리장 냄새>약품 냄새)도 측정됐다.

‘악취확산 모델링’ 결과, 수원시 공공하수·슬러지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망포동까지 최소 5배 수준으로 확산할 수 있었다.

환경관리공단은 악취 개선 방안으로 무인 악취 측정, 시료 자동포집을 통한 악취 관리, 악취개선 협의체 구성·운영, 지자체·사업장 간 악취 저감 자율협약 체결 확대 추진, 광역 단위 대기개선사업 활용 악취 저감 재정지원 확대 등을 제시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주민설명회를 열어 이번 악취 실태조사 결과를 주민들과 공유하고, 조사 결과에 따른 악취 발생원별 저감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며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 기관과 협력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