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한강둔치 구간에 서울다목적운동장 '떡하니'
서울시에 무상 관리전환·유상 매각 강력 요구키로
한강유역 해발 차이없는데 고양시 구간 과도한 규제

고양시에는 난지물재생센터 · 서울시립 승화원 등 서울시의 5개 기피시설이 위치해 있는데 이로 인해 시민들이 누릴 수 있는 환경·교통 등과 관련된 많은 권리들이 제약받고 있다.

고양시는 한강둔치에 고양시 행정구역임에도 서울시 소유의 종로한강다목적운동장이 위치해 있고 고양시민들이 이 공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울 종로구의 사용승인을 받아야만 하는 등 고양시민의 권리가 침해당하는 일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진=고양시)
고양시는 한강둔치에 고양시 행정구역임에도 서울시 소유의 종로한강다목적운동장이 위치해 있고 고양시민들이 이 공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울 종로구의 사용승인을 받아야만 하는 등 고양시민의 권리가 침해당하는 일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진=고양시)

한강둔치 대덕생태공원 인근에는, 고양시 행정구역임에도 서울시 소유의 종로한강다목적운동장이 위치해 있고 고양시민들이 이 공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울 종로구의 사용승인을 받아야만 한다.

앞서 고양시는 시민들이 겪는 불합리한 일들을 해소하고 잃어버린 시민의 권리를 되찾아주기 위해, 종로구에 이미 여러 차례 종로한강다목적운동장의 관리전환 및 소유권 이전을 요구해왔다.

지난 3월 말 종로구에 공문으로 보낸 시설물 관리전환 요청에, 종로구는 “고양시민과 종로구민이 시설 이용에 따른 감면 혜택을 동일하게 적용받으며, 함께 사용하고 있는 공간”이라는 점을 들어 앞으로도 관리·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한바 있다.

이에 부서에서는 ‘한강변 인근에 추진 중인 다양한 개발 사업들로 시민들의 한강이용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는 점, 앞서 언급한 ‘서울시에 대한 주민들의 정서적 반감으로 인한 집단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점 등을 언급하며 이달 중순에도 재차 공문을 보냈다.

시는 종로구와, 기존처럼 고양시민과 종로구민의 공원 이용조건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감정평가에 의한 다목적구장 시설물 협의 매수’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고양시에는 현재 덕은 도시개발사업과 얼마 전 지구지정 돼 본격적으로 추진할 창릉 3기 신도시 개발사업, 보행육교 설치사업 등이 대덕생태공원 주변에 예정돼 있다. 

여기에 앞으로 80억원을 투입해 행주산성 자전거도로까지 추가 설치할 계획이어서, 이러한 사업들이 완료되면 한강을 찾는 고양시민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부서 관계자는 “경주 불국사가 경주에 있고 부산 자갈치시장이 부산에 있는 것처럼, 고양시에 고양시 운동장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밝히고 “이번 방문에는 시민 권리를 되찾기 위한 좀 더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협의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설명했다.   

문제점은 또 있다. 고양시에 따르면, 한강유역 서울시 구간과 고양시 구간이 해발에 있어 별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양시 구간에 대한 과도한 제약으로 시민들의 권리가 침해받고 있다. 

서울시 구간인 대덕생태 공원 인근은 해발 7m임에도 근린친수지로 지정돼, 시민들에게 다양한 친수·휴식공간들을 제공하고 있다. 

반면 고양시 구간인 행주역사공원 육갑문 주변은 해발 8m로 장마 시 침수 우려가 오히려 덜함에도 불구, 일반 보전지역으로 지정돼 시민들을 위한 일체의 친수공간을 제공해줄 수 없어 불합리한 결정이라는 지적이다.

서울 난지물재생센터 부근 한강둔치와 행주역사공원은 고양시민이 찾는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자유로 검문소에서 행주대교까지 구간은 자연 상태로만 이용이 가능할 뿐 시민들을 위한 어떤 시설도 마련할 수 없는 금단의 땅이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고양시 구간의 수변구역 이용은 고양시민으로서 누려야할 고양시민의 당연한 권리다, 인구 120만을 바라보는 고양시의 체육 · 문화 여가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을 감안할 때 한강 수변의 이용권 확대는 필수적이며 과학적 근거까지 명백한 것”이라고 밝히고, “지금까지 하지 못했던 고양시민의 올바른 권리를 찾아오기 위한 고양시의 노력에, 이제는 관련 기관과 108만 고양시민은 물론 정치권도 적극적으로 힘을 합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고양시에는 앞으로도 서울시와 함께 해결해야할 과제, 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 · 서울시립 승화원 · 서울시립 벽제묘지 등 5개의 기피시설들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