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시·군으로 신규채용통해 전출…부작용 많아 개선 필요

광주시가 매년 신규 공무원을 채용해 교육시켜놓고 있으나, 교육받은 신규 공무원들이 경기도 전출과 혹은 타 시·군 신규채용을 통해 전출을 가고 있어 이에 대한 방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광주시가 매년 신규 공무원을 채용해 교육시켜놓고 있으나, 교육받은 신규 공무원들이 경기도 전출과 혹은 타 시·군 신규채용을 통한 전출을 가고 있어 이에 대한 방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광주시 전경 <사진=광주시청>

13일 시에 따르면 "매년 9급 채용시 광주시에 주소를 둔 자로 한정해 매년 100여 명을 채용해 근무시키고 있다"며 "특히 기술직들이 도와 타 시·군으로 전출시 인원 충원하기에 애를 먹는다. 지방자치시대에 시민의 삶에 행복과 질 개선을 향상시키려면 전출을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경기도 전입시험제도가 오히려 지방자치단체의 업무공백과 공무원들의 사기저하, 시민들의 행정서비스를 제때 받지 못해 질을 저하시키고 있을 뿐만아니라 시민들의 행정 불편과 부작용으로 작용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뿐아니라 서울시를 비롯한 타 도의 거주자들이 주소만 경기도에 전입해 시험에 합격하면 일정기간 근무하다 전출이나 재시험을 보아서 실제 연고지로 전출가는 예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시의 재정과 행정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례나 규정으로 정해 채용 후 최소한 5년 이상 근무해야 전출을 허용하거나 전출 가는 도시와 인력을 맞 교환 해야 한다는 방법론도 제고 해 보아야 할 때라고 밝혔다. 광주시의 정규직 인원은 총 1천212명 중 현재 50여 명이 결원 상태라고 밝히고 전출인원을 제한적으로 허용 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한 공무원은 “수년간 함께 동고동락하면서 일하던 동료들이 상급기관이나 타 시·군으로 전출명령을 받고 떠나면 업무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체공무원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있어 적정인원 제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