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한 선사에만 맡겨선 안돼…해상여객안전공단 필요"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4년이 지났지만 우리나라 연안여객선의 구조적 문제는 여전해 국가 차원의 지원과 통합관리를 담당할 '해상여객안전공단' 설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7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세월호 사고 이후 정부가 대형참사 재발 방지를 위해 관련 법률을 보완하고 연안여객선 안전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선박 노후화, 양질의 선원 부족, 선사의 영세성 등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는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기준 연안여객선 168척 가운데 건조한 지 16년 넘은 고선령 노후선박이 66척으로 40%에 이른다.

2012년 104척에 비해선 줄었지만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연안여객선 선원들의 임금은 월평균 315만원(2017년 기준)으로 외항선(569만원), 원양어선(677만원), 해외취업상선(698만원), 해외취업어선(655만원), 내항선(353만원) 등 다른 선종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이는 우수한 선원의 확보를 어렵게 해 고령화와 비정규직화를 가중하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60대가 35.5%, 50대가 25.8%, 70대가 5.9%로 50대 이상이 67%나 되는 데 비해 20대와 30대는 각각 6.3%와 12.1%에 불과하다.

세월호의 경우 1년 단위 계약직 선장을 비롯해 29명의 선원 가운데 15명이 비정규직이었다. 

이런 구조적인 문제는 대부분 선사의 규모가 영세한 데서 비롯한다.

2017년 기준 58개 연안여객 선사 가운데 자본금 10억원 미만이 47%나 되고 보유 선박이 2척 이하인 선사가 60%를 차지했다.

이러한 선사의 재무 취약성은 채산성 악화와 무리한 비용절감으로 이어져 안전관리에 영향을 끼치고 대형사고 개연성을 증가시킨다고 해양수산개발원은 지적했다.

연안여객 수요는 세월호 사고가 난 2014년을 제외하고는 최근 5년간 연평균 1.9%씩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소득수준 증가와 해양관광에 대한 관심 증대로 여객선 이용 국민이 계속 늘어나는 만큼 이에 상응하는 인프라 구축, 서비스 개선, 안전대책 강화가 필요하다.

해양수산개발원은 선박 현대화와 선원 임금개선 등 안전에 대한 투자를 영세한 연안여객 선사에만 맡겨둘 수는 없다고 밝혔다.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부족을 고려하면 연안여객선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중앙정부의 예산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선 전담 통합기관의 설립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일본 등 선진국들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선박을 운영하거나 공사를 설립해 운영을 맡기고 예산을 보조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적기능을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선진국들은 연안여객선을 대중교통수단으로 법제화해 지원 근거를 마련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국가 기간 교통체계나 대중교통수단에 포함되지 않아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연안여객 전반의 구조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연안해상교통을 통합 관리할 주체로 가칭 해상여객안전공단 설립이 필수라고 해양수산개발원은 제안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