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전기차 특구 조성 2030년까지 내연기관차 없앤다

▲ 바람으로 달리는 전기차.
▲ 바람으로 달리는 전기차.

세계 각국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과 실행에 몰두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전기차가 있다.

미세먼지가 전국민적 이슈로 떠오른 우리나라에서도 전기차에 대한 열기가 뜨겁다.

제주가 2030년까지 도내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청사진을 내걸고 6년째 실행에 나서는 사이 전국의 많은 지자체가 앞다퉈 비슷한 목표를 내걸고 추진하고 있다.
 
◇ 전 세계 이어 국내도 전기차 열풍
 
전기차는 이미 세계시장에서 대세로 떠올랐다.

유럽과 미국,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는 날로 심각해지는 대기오염으로 인해 휘발유와 경유를 연료로 하는 내연기관 차량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일부 국가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내연기관 차량에 대한 판매 중단과 함께 친환경 차량으로의 전면 전환을 선언하기도 했다.

자동차 업계는 즉각 반응했다.

메르세데스 벤츠, BMW, 르노, 포르셰, 지엠, 닛산 등 국외 자동차 브랜드는 물론 현대와 기아 등 국내 자동차 기업 간 전기차 개발 경쟁이 한창이다.

슈퍼카 성능의 전기차 재규어 'C-X75'

완성차 업계는 소형 차량에 국한됐던 전기차 모델에서 배터리 성능 등을 개선한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다양한 종류의 신차를 내놓고 있다.

또한 친환경차 바람을 타고 전기버스와 전기 트럭 개발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버스, 트럭 등 상용차는 이동 경로가 비교적 단순해 충전 인프라 구축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데다 연료비 절감 효과가 커 승용차보다도 더 빠른 대중화가 가능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전기차 시장은 단순히 자동차 업계뿐만 아니라 배터리 업체의 가파른 성장까지 이끌고 있다.

이전까지 배터리 성장을 이끈 원동력이 모바일 기기와 전동공구 등 소형 배터리였다면 이제는 무게 중심이 자동차에 쓰이는 중·대형 배터리로 옮겨가고 있다.

미세먼지가 전국민적 이슈로 떠오른 우리나라에서도 전기차 열기는 뜨겁다.

2013년 국내 최초로 제주에서 전기차 민간보급을 시행한 이후 서울과 경기, 대구, 강원 등 각 지자체에서 앞다퉈 전기차 보급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정부에 전기차 민간보급 신청을 한 지자체 수는 2016년 31개 시군구에서 올해 156개 시군구로 다섯 배나 급증, 보급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전기차를 10만대로 늘리고, 시내 충전소와 급속충전기를 대거 확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2025 전기차가 편리한 도시, 서울'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2020년까지 전기차 5만대를 보급하는 내용을 담은 '알프스 프로젝트'를, 강원도는 '전기자동차 확산 및 산업육성 2030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 제주, 전기차 특구 지정 과제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전기차 선도도시 '제주'의 고민은 깊어졌다.

단순한 보급장려 정책만이 아닌 제주가 국내 전기차 연관산업을 이끌고 세계무대에 진출하는 성공모델이 돼야 한다는 목표가 있기 때문이다.

일단 전기차 민간보급에선 제주는 전국에서 단연 최고다.

제주에 등록된 전기차 수는 지난 3월 말 현재 1만368대(전기버스 63대 포함)로 올해 1만대 시대를 열었다. 전국에 보급된 전기차의 35.4%에 달한다.

도는 2015년 발표한 전기차 보급 확대와 산업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을 급변하는 국내외 전기차 정책과 기술동향을 반영해 최근 수정했다.

풍력과 태양 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탄소 없는 섬 제주'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바꾸겠다는 기본 계획은 변함이 없다.

다만 전기차 연관산업이 제주의 미래 신성장 동력이 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가 자율주행차 연구·개발(R&D)과 연계해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서비스 활용·사업을 추진, 교통사고·체증 없는 전기차 자율주행섬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기차 산업 클러스터 조성, 폐배터리 재사용 및 자원순환체계 구축, 전기차 충전주차타워 시범 운영, 전기차 통합운영센터 구축, 중고 전기차 유통·매매환경 조성 등 다양한 실천 전략을 세웠다.

무엇보다 모든 세부 계획을 아우르는 역점 사업으로 제주를 전기차 특구로 조성하는 정책목표를 세워 추진하고 있다.

제주가 전기차 특구로 지정되면 앞서 언급한 모든 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다.

전기차 특구 지정을 위한 개별법을 신설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 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손상훈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제주는 전기차 보급과 관련 인프라 면에서 다른 지자체를 훨씬 앞서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폐배터리 재사용, 전기차 자율주행 등 전기차 연관산업도 이미 시작한 상태"라며 "특구로 지정되면 관련 산업을 더욱 활성화해 좋은 성과를 보다 빨리 도출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전기차 특구를 위한 법률적인 근거 마련과 재정적인 지원을 통해 이뤄낸 결과물은 비단 제주만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의 파급효과로 이어지는 등 많은 이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