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방불명된 귀여운 공주가 작은 섬에 와 돌연 금빛 돼지로 변해

마산항의 진주라 일컫는 돋 섬에는 옛날 가야국 공주의 전설이 전한다. 지금은 해상공원으로 조성되어 마산 시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마산 앞바다에 그림처럼 떠 있는 작은 섬을 돋섬〔猪島〕이라 부른다. 이 섬을 가리켜 오리가 먹이를 구하는 형상이라고도 하고, 돼지가 드러누워 잠자는 형상이라고도 한다. 마산항의 진주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아름다운 섬을 왜 하필이면 돼지섬이라 부르게 되었을까?

옛날 가야국 시절로 거슬러 간다. 백진가야의 왕에게 귀여운 공주가 있었는데 어찌하여 행방불명이 되고 말았다. 

왕은 백방으로 수소문한 끝에 이곳 골포(骨浦, 마산의 옛 이름) 앞바다 작은 섬에 와 있다는 전갈을 받는다. 어부가 알려 준 바에 의하면 공주처럼 보이는 미희가 이 섬에서 웬 노파의 피리 소리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있다는 것이었다.

어부의 말을 빌리면 그 노파는 마귀할멈이라고도 하고, 혹은 지리산의 산신인 마고선녀(麻姑仙女)라고도 했다. 어떻든 이런 괴이한 정보를 입수한 왕은 즉시 군사를 보내어 그 노파를 생포하고 공주를 구출해 올 것을 명한다.

그러나 공주의 구출작전은 실패로 돌아가고 만다. 수많은 군사가 섬에 올라 포위망을 좁혀 가자 춤추던 공주가 돌연 금빛 돼지로 변하고, 피리를 불던 노파는 한 줄기 연기로 화하여 무학산 정상의 바위로 사라지고 만다.

아리따운 공주가 일순 돼지로 변하다니, 현장에 달려온 왕은 돼지 목덜미에서 자신이 손수 걸어 준 조개껍질 목걸이를 발견하자 경악을 금치 못한다.

그러나 어쩌랴, 자신의 딸임이 확인된 마당에야. 이 일이 있은 후 왕은 이 섬을 돋섬이라 명명하고 공주의 화신인 돼지가 편안히 살 수 있도록 인간의 접근을 금하고 먹잇감을 충분히 넣어 주도록 배려한다.

이 일이 있고 나서 왕은 이 섬을 돋섬이라 하고 공주가 편히 살도록 배려했다고 한다.

그러나 돋섬은 이후로도 평안하지 않았다. 밤이면 돼지 울음소리가 요란하고 괴이한 광채가 밤새 섬 주변을 맴돌았다. 

그런데 이런 괴변은 신라의 대학자 최치원 선생에 의해서 말끔히 해결된다. 당시 골포 해변에 월영대(月影臺)란 정자를 짓고 기거하던 선생이 섬을 향해 활을 쏘았더니 그 요란하던 울음과 광채가 멎었다. 다음날 아침 섬으로 건너가 화살이 꽂힌 곳에서 제를 올렸더니 그날 밤부터 괴변은 사라지고 섬은 다시금 평온을 되찾게 되었다.

최치원 선생이 제를 올렸던 그 장소에서 오랫동안 기우제를 올리던 풍습이 있었다는데 그 정확한 위치는 알지 못한다. 

돋섬은 이제 해상공원으로 조성되어 마산 시민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그런데 이 공원 안에 조성된 동물원 막사에는 온갖 수입 동물들로 즐비한데 막상 전설의 주인공인 돼지의 모습은 찾을 수가 없고, 단지 선착장에 만들어 놓은 돼지 조형물로 대신하고 있다.
 
또한 진북면 괴정리 마을 앞에는 베틀산이 있다. 이 산의 높이는 해발 600미터.이 베틀산은 여항산줄기로 진북면 대티리와 금산리, 부산리 등의 삼각경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 베틀산의 정상에는 약 20여평 넓이의 평평한 바위가 하나 있는데 이 바위를 가리켜 사람들은 베틀바위라고 부른다.
이 바위를 베틀바위라 부르게 된 연유는 괴정마을에서 바라보는 바위의 형상이 꼭 한대의 베틀을 닮았다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고 하고, 또 옛날부터 전하여 오는 전설에는 어떤 아낙네가 이 바위에서 사시사철 베틀에 앉아서 베를 잣다는 설도 있다.
 
옛날, 아주 오래된 옛날, 이 세상에는 천지개벽이 일어나 이 부근이 온통 바닷물에 잠긴 일이 있었다고 한다.
바닷물은 마을을 덮고 점점 불어나서 마침내 베틀산의 정상에까지 차오르게 되었다. 

그때 마침 정상의 베틀바위에는 그 아낙네가 베틀에 앉아서 베를 짜고 있었는데 정상에 까지 차오르던 바닷물이 웬일인지 그 이상은 더 불어 나지를 않고 베틀바위 근처에서 찰랑거리다가 차츰 빠져 나갔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도 이 바위에는 그때의 흔적으로 조개껍질이 더러 붙어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 베틀바위에서 마주 건너다 본 산이 광려산인데 표고 800미터 되는 이 산의 정상부근에는 세개의 바위가 나란히 앉아있다. 사람들은 또 이 바위를 가리켜 삼형제 바위라 부른다. 산 아래의 괴정마을에서 바라보면 이 바위의 모양 또한 마치 삼형제가 나란히 앉아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